티스토리 뷰
1. 나의 xcode 프로젝트를 만든다 (swift)
2. 터미널에서 나의 프로젝트 경로로 이동하고, pod을 이용하여 google api를 가져온다.
$ cd 프로젝트 경로
$ pod init
$ vi Podfile
(Podfile에서 i를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 후
pod 'Google/SignIn' 을 추가
그리고 esc :wq 명령어를 입력해 파일을 저장 후 vi editor를 종료 한다)
$ pod install
3. 2번까지 진행하면 나의 프로젝트 경로에 .xcworkspace 파일이 생성된다. 이 파일을 xcode로 오픈하여 이후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.
4. google 설정 plist 파일을 추가해준다.
https://developers.google.com/identity/sign-in/ios/start-integrating
위의 경로에 접속하여 GET A CONFIGURATION FILE을 클릭하여 sign in을 위한 설정 파일을 다운 받는다.
프로젝트 이름을 쓰고, 내 프로젝트의 bundle identifier를 써주면 된다.
그리고 다운 받은 plist를 오픈된 .xcworkspace 프로젝트에 추가한다.
5. xcode의 프로젝트 구조에서 최상위의 프로젝트명을 더블 클릭 한 후 info 탭을 선택, 제일 아래에 URL types를 클릭, 2개의 URL을 추가해준다.
첫번째 URL에는 나의 Bundle ID를 입력 한다. (com.test.프로젝트명)
두번째 URL에는 다운받은 GoogleService-Info.plist 파일을 열어서 파일에 적혀있는 REVERSED_CLIENT_ID 를 입력한다.
6. 스위프트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경우 google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 project-Bridging-Header.h file 브리징 헤더 파일을 생성한 후 거기에 임포트를 해야 한다. 따라서 더미 Objective-C 파일을 생성 한 후 브리징 헤더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 해주고 생성한 파일을 다시 삭제 한다. 그리고 생성된 브리징 헤더 파일을 오픈 하여 다음을 입력 해 준다.
#import <Google/SignIn.h>
7. 그리고 설정이 잘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코드를 AppDelegate.swift 파일에 작성해준다.
1) 다음 프로토콜을 GIDSignInDelegate 구현한다.
class AppDelegate: UIResponder, UIApplicationDelegate, GIDSignInDelegate
2) application:didFinishLaunchingWithOptions: 함수 안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 한다. 설정이 잘못되었을 경우 Error를 출력한다.
func application(application: UIApplication,
didFinishLaunchingWithOptions launchOptions: [NSObject: AnyObject]?) -> Bool {
// Initialize sign-in
var configureError: NSError?
GGLContext.sharedInstance().configureWithError(&configureError)
assert(configureError == nil, "Error configuring Google services: \(configureError)")
GIDSignIn.sharedInstance().delegate = self
return true
}
'Programming > i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OS/swift] Google Sign In 연동하기 #3 (0) | 2016.12.11 |
---|---|
[iOS/swift] Google Sign In 연동하기 #2 (0) | 2016.12.11 |
[iOS/swift] cocoapods - 라이브러리 관리 (구글 API 샘플테스트) (0) | 2016.12.08 |
[iOS/Swift] Auto Layout Without Constraints 번역 (0) | 2016.10.01 |
[iOS/Swift] Understanding Auto Layout 번역 (0) | 2016.10.01 |